카리나에게 가해진 한국 사회의 억압성
[미디어스=윤광은 칼럼] 결말로 치닫는 대선 정국의 열기는 케이팝 신으로 번져 나갔다. 에스파의 멤버 카리나가 인스타그램에 숫자 2번이 박힌 붉은색 점퍼를 입은 사진을 올렸다. 기호 2번에 상징색이 붉은 색인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지지하는 메시지로 간주됐다. 댓글 창은 성토로 뒤덮였다. 왜 민감한 시국에 오해받을 사진을 올리느냐, 왜 아이돌이 정치적 의사를 밝히느냐, 왜 탄핵당한 대통령의 정당을 지지하느냐 같은 댓글이다. 사진은 두 시간 후 삭제됐다. 카리나와 SM은 다른 의도 없이 올린 사진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분명히 해두자. 이건 과열이다. 활자로 된 텍스트 하나 없는 사진을 두고 의도를 추측하다 못해 단정을 지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오해를 빚을 만한 맥락이 축적돼 있긴 하다. SNS가 활성화되며 연예인들의 사회적 발언은 늘어나기 시작했다.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 큰 선거가 처음 치러진 2012년에는 연예인들의 투표 인증샷이 유행했고 논란이 뒤따랐다. 투표소 앞에서 손가락으로 V자를 그렸다가 특정 정당의 기호를 연상시킨다고 선거법에 위반된 사례도 있다. 이후 누군가 투표소에서 어떤 색깔 의상을 입었다, 어떤 포즈를 취했다 같은 숨은그림찾기가 선거철마다 벌어졌다.